앨런 R. 핸디사이즈, 피터 N. 랜들리스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도시화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건강에 어떤 결과가 따르나요?
도시화, 즉 도시로의 인구 이동이 급격히 대규모가 되고 있습니다. 원인은 많지만 그 결과는 아직 다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이동이 일어나는 이유는 농업의 기계화, 농촌 일자리 감소, 산업화로 인한 도시 주변 일자리 창출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불행하게도 개발 도상국에서는 균형 잡힌 성장에 필수적인 기반 시설이 없는 경우가 많아서 도시에 판자촌들이 생기며 선진 도시에서는 인구 과밀화 때문에 노후 기반 시설에 부담을 안겨 줍니다.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마다 다르지만 아주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주로 선진국에 만연한 현재의 비만은(그렇다고 선진국에만 한정되지는 않습니다.) 부유층이 아닌 사람에게도 많습니다. 도심 빈민가에는 신선한 농산물을 파는 상점이 거의 없지만 비만을 조장하는 패스트푸드 음식점은 급증하여 압도적으로 많이 존재합니다.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는 역설적으로 외로움과 고립이 점점 늘어나며 그 결과로 도시 거주자의 사회적 상호 작용은 줄어들게 마련입니다. 젊은 세대의 불안, 우울, 자살이 증가하면서 정신 건강은 갈수록 약해집니다. 북미 지역 사회에서 정신 장애가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선진국이 아닌 곳에서는 공중 보건 위생 조치가 적절히 유지되거나 시행되지 못함으로 전염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위생이 좋지 못하고, 깨끗한 물이 없고, 복닥거리는 생활 환경에서 사는 것이 발병의 원인 요소가 되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최근 하와이에서 수천 명이 콜레라에 걸린 사건을 들 수 있습니다.
인구가 조밀한 대도시 ‘빈민가’에는 마약 거래, 매춘, 성 질환 감염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됩니다. 그리고 범죄와 사회 불안이 이러한 지역에 생채기를 냅니다.
도시화와 이에 따른 오염 또한 걱정거리입니다. 이 지구 상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중국이 산업적으로 엄청나게 성장하면서 많은 인구가 도시로 이동했고 이에 따라 환경이 오염되었습니다.
도시민이 폐암을 비롯하여 호흡기 질병에 더 많이 걸린다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프랑스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주로 정자 수가 감소한 남성은 대부분 도시 거주자였습니다. 잠재적인 특정 오염원의 직접적인 원인과 결과를 규명하기는 어렵지만 분명 무엇인가가 잘못되고 있습니다.
선천적 기형은 최근의 교통 공해와 연관이 있습니다. 캘리포니아에서 실시한 두 가지 대규모 연구1를 분석한 결과, 차량 공해가 심하여 일산화탄소나 산화질소 수치가 높은 지역(상위 25퍼센트)에 사는 예비 엄마들은 척추 갈림증 같은 신경학적 선천성 기형이 있는 아기를 출산할 위험이 두 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자료는 확인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생각할 거리를 줍니다.
컴퓨터 기술이 발달하고 인터넷을 쉽게 사용하면서 많은 사람이 집에서 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무실은 사람들과 교류하는 유익이 있기는 하지만 굳이 사무실을 고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시골 환경이 주는 이점이 어마어마합니다. 초기 재림교회 개척자들은 그 유익을 알고 있었습니다. 대도시에서 해야 할 큰일이 있지만, 업무 수행에 문제가 없는 근교 시골 지역에 거주하는 길을 알아본다면 건강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앨런 R. 핸디사이즈, 산부인과 전문의이자 대총회 보건전도부장이다.
피터 N. 랜들리스, 심장핵의학 전문의이자 대총회 보건전도부 부부장이다.
1.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October 7. 2012., doi:10.1093/aje/kws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