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언의 신의 발견
엘렌 화잇과 재림교회 기본교리
교리 완성과 엘렌 화잇의 역할
멀린 D. 버트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하나님께서 엘렌 화잇에게 예언 사역을 맡기셔서 교회를 시작하고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하셨다고 믿는다. 1844년부터 1915년까지 70년 남짓한 기간에 걸쳐 그녀는 이상과 예언적 꿈을 통하여 계시를 받았다. 이 특별 계시들은 교회와 개인을 성경적 믿음에 밀착시키는 교정적 역할을 했다. 거기에서 재림교회 기본교리들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그것들로 인해 신자들은 연합했고 풍성한 성경적 이해를 얻었다. 이 역할이 재림교회 교리 발전에서 분명히 나타난다.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에서 가장 중요하고 독특한 교리인 성소와 안식일 그리고 이 두 교리가 통합된 세 천사 기별을 보면 그와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또 하나의 심화된 예증으로 우리는 십일조의 교리에서 엘렌 화잇의 역할을 볼 것이다.
하늘 성소
1845년 3월, O. R. L. 크로지어는 <데이 던(Day-Dawn)>에 게재한 그의 첫 번째 기사에서 예수께서는 1844년 10월 22일, 하늘 지성소에서 자신의 봉사를 시작하셨음을 시사했다. 그는 더 나아가 <데이 던 증보판>, 1846년 2월 7일 자 ‘모세의 율법’이라는 장문의 기사에서 대속죄일의 원형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켰다.1
엘렌 화잇은 1847년에 “주님께서는 1년여 전에 크로지어 형제가 성소 정결에 대한 참빛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상 중에 내게 보여 주셨다.”2라고 기록하여 그의 주장을 확인하였다. 엘렌 화잇이 예수님을 우리의 대제사장으로 규명함으로 하늘 성소에 대한 이해를 풍요롭게 했지만, 기초를 세운 것은 크로지어의 성경적인 설명이었다.
안식일
제칠일 안식일은 제칠일 침례교회의 영향을 받아 재림 신자들에게 전해졌다. 뉴햄프셔 주 워싱턴에 있는 제칠일 침례교인, 레이첼 오크스가 프레드릭 휠러에게 안식일을 전했다. 휠러는 T. M. 프레블에게 영향을 준 듯하며, 그는 다음으로 조셉 베이츠를 안식일로 이끈 한 기사와 소책자를 1845년 2월과 3월에 기록하였다.3 베이츠는 자신의 중요한 안식일 소책자 <제칠일 안식일, 영원한 표징>을 1846년 8월에 집필했다.4
신혼인 제임스와 엘렌 화잇은 이 소책자를 성경과 함께 연구한 다음 제칠일 준수자가 되었다. 이듬해까지 엘렌 화잇은 안식일에 대한 이상을 받지 않았다. 그녀는 그의 소책자를 읽기에 앞서 조셉 베이츠가 안식일에 대해 말하는 것을 들었지만 “중요하다고 느끼지 않았다.”5 하나님께서는 그녀에게 마음이 안식일로 향하도록 가리키는 이상을 주지 않으셨다. 오히려 그분께서는 이 중요한 교리적 현안에 자신의 믿음을 두기 위해 그녀가 성경을 연구하기를 기다리셨다.
안식일과 성소의 결합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에 가장 중요한 신학적 발전은 개별적 교리로서의 안식일 혹은 하늘 성소가 아니라 그 두 교리가 세상을 위한 마지막 기별에서 통합된 것이었다. 1847년 1월 안식일에 관해 조셉 베이츠가 두 번째 간행한 소책자는, 요한계시록 11장 19절과 14장 12절에 근거할 때 안식일이 ‘현대 진리’이며 마지막 때 중요한 주제라는 사상을 제시했다.
요한계시록 11장 19절은 하늘의 성전이 열리고 지성소의 언약궤가 보이는 모습을 묘사한다. 궤 안에는 십계명이 있다. 세 천사의 기별은 하나님을 창조주로 경배하도록 우리를 부르고 성도들을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고 예수 믿음을 가진 자’로 묘사한다. 베이츠가 볼 때 안식일은 예수님의 지성소 봉사와 연관이 있기 때문에 마지막 시대에 중요한 기별이었다.
엘렌 화잇은 베이츠의 소책자 개정판을 읽었다. 1847년 4월, 그녀의 ‘안식일의 영광의 빛 이상’은 요한계시록 11장 19절을 생생하게 묘사해 주었고 베이츠가 이미 출간한 내용을 확증했다. 이상에서 그녀는 예수께서 지성소에서 언약궤를 열고 십계명을 꺼내시는 것을 보았다. 그분께서 두 개의 돌비를 열자, 그녀는 영광의 빛이 넷째 계명을 둘러싸고 있는 것을 보았다.6 그녀의 이상으로 성경 이해에 관한 중요한 사실을 적용할 수 있었다. 그녀는 재림 신도들이 ‘나아가서 안식일을 더욱 온전히 외치는 것’을 보았다.
이상을 통해 확증됨으로 안식일의 종말론적 중요성이 확실하게 각인되었고 안식일의 문맥에서 복음을 새롭게 선포할 동력이 제공되었다. 이 교리는 세 천사의 기별에서 통합되었고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가 복음 사명을 다하는 일에 신학적 핵심 기초가 되었다.
그렇게 해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핵심 기본교리인 성소, 안식일, 복음적 사명을 위한 두 기별의 통합이 엘렌 화잇의 이상에 근거하지 않고, 주의 깊은 성경 연구에 기반을 두었다는 것을 우리는 알게 된다. 그녀의 이상은 그것을 확인하고 교정하고 풍성하게 하는 보완적 역할을 했다. 엘렌 화잇은 언제나 재림 신자의 신앙과 행동이 자신의 이상이 아닌 성경에 근거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1851년의 자신의 첫 소책자에서 그녀는 이렇게 기술했다. “친애하는 독자들이여! 나는 하나님의 말씀을 그대들의 믿음과 행위의 규범으로 추천하는 바이다. 그 말씀으로 우리는 심판을 받게 된다. 하나님께서는 그 말씀 가운데 ‘마지막 때’에 이상들을 주시기로 약속하셨다. 그것은 믿음의 규범이 아니라 당신의 백성의 안전을 위하며 성경의 진리가 지적하는 잘못을 범한 자들을 바로잡기 위하여 주신 것이다.”7
십일조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모든 기본교리는 성경 연구에서 왔다. 그것들은 엘렌 화잇의 이상에 기원을 두고 있지 않다. 또 하나의 예가 십일조이다.
1858년 4월, J. N. 앤드루스는 미국 미시간 주 배틀크릭에서 성경 연구반을 인도하며 어떻게 복음 사업이 유지되어야 하는지를 연구했다.8 이로 인해 조직적인 헌금이라고 불리는 헌금 계획이 1859년에 채택되었다.
첫 번째 지침은 ‘형제들’은 매주 5~25센트를, ‘자매들’은 2~10센트를 구별해 놓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추가적으로, 재산이 있는 사람들은 한 주에 자신의 자산 100달러당 1~5센트를 구별하도록 요청되었다. 십일조는 언급되지 않았다.
엘렌 화잇은 조직적인 헌금을 이런 말로 지지하였다. “하나님께서는 그분의 백성을 조직적인 헌금 계획으로 인도하고 계신다.”9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십일조에 관한 성경적인 가르침이 드러나도록 그녀의 이상들을 통해 교정하는 일을 하지 않으셨다.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1876년에서 1879년이 되어서야 성경이 말하는 십일조에 대한 계획을 실행하였다.10 이때 복음 사업과 교회의 사명을 유지하기 위해 십일조를 어떻게 가장 잘 사용할지에 관한 안내를 위해 하나님께서 예언의 은사를 사용하셨다.
다시 이상들은 확증하고 교정하고 풍요롭게 하였다. 시작은 이상이 아니었다. 하나님께서는 교회가 그 문제를 성경에서 연구하기를 기다리셨다. 재림교인에게는 예언의 이상을 통해 고귀한 관점으로 속히 나아가는 것보다 성경의 토대에 자신들의 믿음을 세우는 일이 더 중요하다.
엘렌 화잇의 예언 사역이 재림교회 교리 발전에 연관되는 방식을 보면서 우리는 감사할 수 있다. 그녀가 참선지자라는 표증 중 하나가 성경에 대한 태도이다. 하나님께서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기본교리를 권하고, 확증하고, 교정하고, 풍성히 하기 위해 예언의 선물을 사용하셨다. 성경은 모든 교리의 근원이다. 우리가 지금 간직하고 있고 세상에 전하는 기본교리로 하나님께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인들을 인도하신 것은 이상을 통해서가 아니라 주의 깊은 성경 연구를 통해서였다.
멀린 D. 버트
미국 미시간 주 베리엔 스프링스, 앤드루스 대학교에 위치한 엘렌 G. 화잇 유산관리위원회 지부의 지부장이다.
1 O.R.L. Crosier and F. B. Hahn, Day-Dawn published on last page of Ontario Messenger, Mar. 26. 1845.; O.R.L. Crosier, ‘The Law of Moses’, Day-Star Extra, Feb. 7. 1846.
2 엘렌 G. 화잇이 엘리 커티스에게 보내는 편지, Apr. 21. 1847., in [James White], A Word to the ‘Little Flock’(Brunswick, Maine : James White, 1847), p. 12
3 Thomas M. Preble, ‘The Sabbath’, Review and Herald, Aug. 23. 1870., reprinted from the Hope of Israel, Feb. 28. 1845.; Tract, Showing That the Seventh Day Should be Observed as the Sabbath, Instead of the First Day; ‘According to the Commandment’(Nashua, N. H. : Murray and Kimball, 1845)
4 Joseph Bates, The Seventh Day Sabbath, A Perpetual Sign, From the Beginning to the Entering Into the Gates of the Holy City, According to the Commandment(New Bedford, Mass. : Benjamin Lindsey, 1846)
5 교회증언 1권, 75, 76
6 초기문집, 33
7 상게서, 78
8 N. Loughborough, The Church, Its Order, Organization, and Discipline, p. 107
9 교회증언 1권, 191.
10 D. M. Canright, ‘Systematic Benevolence, or the Bible Plan of Supporting the Ministry’, Review and Herald, Feb. 17. 1876.; ‘Systematic Benevolence’, Review and Herald, Dec. 12. 1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