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과 레보도파
회사 동료가 파킨슨병 진단을 받아서 그 가족이 너무나 힘들어하고 있습니다. 동료는 62살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왕성하게 활동하면서 자기 분야에서도 똑 부러지게 일을 잘하는 사람입니다. 전기 자극 방법이 최근에 나왔다는데 이 방법을 동료의 아내에게 알려 주어도 될까요?
파킨슨병은 까다로운 질병입니다. 인구가 고령화되면서 환자는 훨씬 많아질 것입니다. 2030년이 되면 파킨슨병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 수가 현재보다 2배로 늘 것으로 전망됩니다.1 수많은 사람에게 레보도파라는 약이 상당한 효과를 나타내어 떨림, 경직되고 느린 움직임, 무표정과 같은 운동 증상이 현저하게 줄어들었습니다. 파킨슨병이 진행되면 운동 변동이 점점 더 문제가 됩니다. 치매도 파킨슨병 사례 가운데 3분의 1정도에서 동반되는데 운동 능력을 향상 시키면 발병을 늦출 수 있다고 합니다. 오랫동안 신경생리학계에서는 시상하부 내에 자극을 주는 실험을 진행해 왔습니다. 인간 뇌에 전기 자극을 주는 방법은 로마 황제 클라우디우스의 어의였던 스크리보니어스 라구스2가 처음으로 사용했습니다. 서기 50년에는 ‘전기가오리’로 두통과 통풍을 치료했습니다. 18세기 후반에 전기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전류 활용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왔습니다. 파킨슨병 환자가 연구의 주요 대상이 되어 왔습니다. 2014년 9월에 알림-루이 베나비드(프랑스 그르노블 대학병원 신경외과 의사)와 말론 들론(미국 에모리 의대 신경학자)이 래스커 의학연구상(Lasker-DeBakey Clinical Medical Research Award)을 수상했는데, 이 두 사람의 연구 및 이를 실제 임상에 적용한 결과로 파킨슨병 환자 수만 명의 삶이 개선되었습니다. 미국에서 60세 이상 인구 중 1~2퍼센트3, 전 세계적으로는 700~1,000만 명이 이 질병으로 고통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4 발을 질질 끄는 걸음, 마스크를 쓴 것 같은 무표정한 얼굴, 부드러워지는 목소리, 떨림, 작아지는 글씨, 경직, 균형 문제만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닙니다. 모르는 사람은 파킨슨 환자를 마치 정신지체자 취급하며 함부로 대할 수 있는 데다가 환자는 우울증, 불안, 수면장애까지 겪습니다. 레보도파가 등장하기 전, 파킨슨병 환자의 삶은 악몽과 같았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불응기가 찾아올 때가 많다는 점입니다. 불응기란 약물이 더 이상 효과가 없는 것처럼 보일 때를 말합니다. 베나비드와 드롱을 비롯한 다른 연구자들이 전기탐침을 활용해 역동적인 전류를 특정 뇌 중심부로 보내고 있습니다. 이 뇌 중심부는 움직임을 조절하는 곳으로 시상하부 신경중추라 부릅니다. 저주파 리듬은 떨림을 악화시키지만, 고주파는 떨림을 줄여 줍니다. 그 자극을 개별화하고 세밀한 연구 기법을 활용하여 이 두 연구자가 연구 계획서를 만들었고, 다른 연구자들도 이 계획서를 통해 이 두 사람과 같은 결과를 끌어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극에 대해 저항성이 생길지는 아직 잘 모르지만, 자살 생각과 자살 시도 증가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기는 했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전문가로 이루어진 팀이 현재 이러한 치료법을 활용하여 놀라울 정도로 효과적인 결과를 이루어 낸 경우가 많습니다. 동료 아내분에게 이러한 치료법을 한번 권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최첨단 치료법이면서 아직 알려진 점이 많지 않기 때문에 상급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뇌심부자극술이라는 이 치료법으로 파킨슨병 관리에 새로운 장이 열리거나 적어도 증세 완화로 환자들은 큰 도움을 얻을 것입니다. 다른 신경 질환들도 곧 이러한 중재술의 적용 대상이 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새롭게 만드실 때를 기다리면서, 파킨슨병과 같이 사람을 쇠약하게 만드는 병을 조금이라도 경감시킬 방법이 있기에 더 큰 희망을 품을 수 있습니다!
1Carolyn Tanner, ‘A Second Honeymoon for Parkinson’s Disease?’,
2Michael Okum, ‘Deep-Brain Stimulation—Entering the Era of Human Neural—Network Modulation’,
3National Human Genome Research Institute, www.genome.gov/10001217.
4Parkinson’s Disease Foundation, www.pdf.org/en/parkinson_statistics.
피터 N. 랜들리스
심장핵의학 전문의이자 대총회 보건전도부장이다.
앨런 R. 핸디사이즈
산부인과 전문의이며 대총회 보건전도부장에서 은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