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빙 라이프
절제하는 삶
역사적인 입장
전 세계에 널리 퍼진 흡연 현상에 재림교회는 어떻게 대응해 왔나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창립자들은 알코올, 담배, 카페인, 마약 등 중독성 물질을 피하는 생활을 강조했습니다.
1820년, 재림교회 공동 창립자인 조지프 베이츠는 육식뿐 아니라 담배, 알코올, 차, 커피를 섭취하지 않기로 결심했습니다. 엘렌 화잇은 1848년에 계시를 받고 나서 알코올, 담배, 차, 커피의 위험성을 강력하게 알렸습니다. 삶의 질 향상과 전인성을 강조하면서 예방이라는 기별을 끊임없이 전했습니다. 1863년에 교회가 정식 명칭을 채택하기 전에도 조지프 베이츠, 엘렌과 제임스 화잇 부부는 절제와 전인적 건강을 지지했습니다.
초기 재림교회는 그러한 입장과 절제에 찬동했고, 절제를 옹호하는 입법자와 의원을 지지하도록 교인들과 사회 전반을 독려했습니다.
엘렌 화잇은 금주법과 같은 절제 운동을 지지하면서, 모두가 각자의 영향력을 활용하도록 강력하게 촉구했습니다. “금주법에 찬성하는 투표를 해야 하는가? 그렇다. 어디에 있든 한 사람도 빠짐없이 해야 한다. 시간을 따로 낼 수 없어서 어쩔 수 없는 경우 금주법에 찬성하는 투표를 안식일에 하라고 내가 말한다면 아마도 여러분 중 충격에 빠질 사람이 있을 것이다.”1
화잇 여사는 옹호 활동과 투표 참여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하며 1881년에 다음과 같이 되풀이했습니다. “사회의 도덕심이 마비되는 데에는 원인이 있다. 나라의 기반을 무너뜨리는 죄악이 국법으로 유지되고 있다. 사회에 존재하는 악을 개탄하면서도 자기 자신은 그 문제에 대해 아무 책임도 없다고 여기는 사람이 많다. 절대 그럴 수는 없다. 각자가 사회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2 화잇은 펜, 목소리, 투표로 변화를 이끌자고 촉구했습니다.
재림교회는 처음부터 꾸준히 지역사회에서 금연 활동에 적극 참여해 왔습니다. 1866년에 설립된 재림교회 최초의 건강 기관인 서부건강개혁원(Western Health Reform Institute)에서는 흡연이 금지되었습니다. 로마린다대학은 최초의 금연 의과대학입니다(1905년). 재림교회 보건 전문가들은 1950년대 말에 시작한 ‘5일 금연학교’를 필두로 금연 프로그램을 계속 개발하고 있습니다. ‘5일 금연계획’이 1984년에는 ‘브리드 프리(Breathe Free)’라는 프로그램으로 바뀌었습니다. 호주에서 개발한 ‘큇 나우(Quit Now)’ 프로그램(1995년)에는 니코틴 대체 치료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2014년에는 더 향상된 ‘브리드 프리 2’를 시작했습니다. 주로 웹에 기반을 둔 프로그램으로 동기 부여 인터뷰가 포함되며 필요하면 약물 요법도 가능합니다.3
흡연에 관한 진실
흡연자의 절반 정도가 흡연으로 사망합니다.
전 세계에서 매년 7백만이 넘는 사람이 흡연으로 사망합니다. 그중 6백만 명 이상의 사망 원인이 1차 흡연이며, 89만 명은 2차 흡연에 노출되어 사망합니다.
전 세계 흡연자 11억 명 가운데 80퍼센트가량이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 살고 있습니다.4
이렇게 소름 끼치는 사실을 통해 우리의 일이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도구가 있습니다. 그러니 일합시다.
1 Arthur L. White,
Md.: Review and Herald Pub. Assn., 1984), vol. 3, p. 160
2 엘렌 G. 화잇, <절제생활> 253
3 https://www.breathefree2.com
4 2018년 3월 WHO 흡연 자료표.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39/en/
피터 N. 랜들리스
심장핵의학 전문의이자 대총회 보건전도부장이다.
제노 L. 찰스-마셀
내과전문의이자 대총회 보건전도부 부부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