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하는 믿음
재림교회 백과사전 프로젝트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나는 중”
삶을 바꾸어 놓는 목표와 방법들에 대해 편집주간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2015년 4월 14일, 대총회 본부에서 열린 춘계 회의 기간에 대총회 행정위원회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백과사전(Encyclopedia of Seventh-day Adventists, ESDA)>을 위한 예산을 승인했다. 재림교회 백과사전은 완전히 새로운 참고 서적이 될 것이다. 2018년 5월 드라고슬라바 산트라츠 박사는 이 프로젝트의 편집주간직을 수락했다. <애드벤티스트 월드> 부편집인 샌드라 블랙머가 산트라츠 박사를 만나 백과사전 업무와 프로젝트의 목적,전 세계 현장에서 각 연령대의 신자들에게 이미 나타나고 있는 변화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편집실
백과사전 프로젝트의 편집주간으로서 맡고 있는 책무들에 대해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한마디로 편집주간은 백과사전을 개발하고 시작하는 데 필요한 과정과 기능을 관리하고 안내합니다. 지속적인 지원 및 프로젝트를 홍보하는 일이 거기에 포함되어 있죠. 그 일을 위해 글을 쓰고 보고서를 작성하거나, 프로젝트 개발 관련 인력의 선택 및 작업 흐름과 속도 조정 그리고 성공적 출시로의 과정을 안내하기 위한 계획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본인이 이 직책을 맡도록 준비된 배경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저의 학문적·직업적 이력과 함께 그 기초에는 하나님과 교회를 사랑하도록 가르쳐 주신 부모님이 계시다고 말씀드려야겠네요. 부모님은 근면, 헌신, 성실을 중요하게 여기셨어요. 저는 네 개 지회에서 근무했기 때문에 다양한 문화와 서로 다른 갖가지 생활방식, 사고방식에 대해 폭넓고 세계적인 안목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또 서로를 분리시키기보다 연결시키는 요소가 훨씬 많다는 것도 배울 수 있었지요.
백과사전 프로젝트가 대총회의 자료·통계연구소(ASTR)의 지원 아래 진행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렇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바로 자료·통계연구소의 지원과 지도를 받고 있습니다. 데이비드 트림 자료·통계연구소장이 본 백과사전의 편집장입니다.
태어나고 자란 곳은 어디입니까?
프랑스에서 태어났고 인생의 첫 8년을 그곳에서 보냈습니다. 그 뒤 부모님은 고향인 세르비아로 돌아가셨죠. 교인 25명인 그곳의 작은 마을 교회에서 제 인생의 틀을 갖추었지요. 교인들은 서로를 보살폈어요. 말보다 삶이 더 큰 증언이라는 사실도 배웠어요. 초기 재림교인과 선각자들의 전기를 연구하고 있는 지금도 제가 중요하게 여기는 점이지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백과사전(Seventh-day Adventist Encyclopedia)> 두 번째 개정판이 출판된 지 20년, 초판이 발행된 지는 50년도 더 지났습니다. 새 백과사전에는 어떤 변화와 추가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고 보십니까?
새 백과사전은 기존 <재림교회 백과사전>의 개정판이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프로젝트입니다. ‘왜 현 백과사전의 개정이 아니냐? 꼭 새로운 백과사전이 필요하냐?’고 따져 묻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백과사전 기사를 새로 쓴다고 해서 역사를 다시 쓰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기존 백과사전에 만약 부정확한 정보가 있다면 그 부분은 수정해야지요. 새로운 연구에서는 최신 정보뿐 아니라 재림교회의 현세대에게 새로운 안목을 제공할 것입니다. 필진은 오래된 자료들을 확인하고 의미 있는 새로운 자료도 포함시킬 예정입니다.
새로운 목록이 많이 추가되고 있습니다. 지난 50년 동안 교회가 수적·학문적으로 상당히 많이 발전했기 때문에 새로운 백과사전에 그러한 성장을 수용하고 통합할 것입니다. 새로운 연구를 많이 진행하고 있어요. 적어도 신간 백과사전의 인쇄판은 기존 백과사전의 거의 두 배인 8,500여 기사를 담을 예정입니다. 사실 우리의 우선적인 초점은 2020년 대총회 총회 때 출시할 온라인 버전입니다. 온라인 백과사전은 무료 웹사이트이고 교회 성장에 발맞추어 매년 확장 및 업데이트됩니다.
그 외에 이 신간 백과사전으로 달라지는 것은 무엇입니까?
기존 백과사전에 빠져 있는 세계 여러 지역의 역사 자료들을 포함할 것입니다.
물론 당시 필자들도 세계적인 안목으로 접근하려고 애썼겠지만 기존 판이 주로 북미의 관점에서 집필됐다고 느끼는 이들도 있지요. 그래서 이번에는 세계 곳곳의 학자·교사·필자 수천 명의 전문 지식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20여 부편집인과 13개 지회 및 중동 북아프리카연합회(MENA)의 위원들이 우리와 함께 이 프로젝트에 동참하고 있습니다(사이드바 참조).
이런 전 세계적인 참여의 또 다른 유익을 말하자면, 부편집인들이 각자의 지역 교회에서 자료를 모을 수 있다는 점이지요. 요청받지 않는 한 교인들이 결코 공개하지 않을 편지, 일기 등이요. 또 생존하는 친척이나 특별한 역사적 사건을 알고 있는 사람과 인터뷰하여 구전(口傳)에 근거한 정보도 수집할 수 있어요. 안타깝게도 이런 자료는 기록해 놓지 않으면 사라져 버리거든요.
프로젝트에 관련된 이런 참여들이 해당 지역에 변화를 준다고 생각하십니까?
물론입니다. 참여한 많은 지역 교회가 부흥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자신들이 살고 있는 곳에서 행해졌거나 일어난 일들이 세계 교회에 의미를 주며 또한 우리 교회 역사의 중요한 부분이라는 믿음이 생기기 때문이지요. 외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때때로 세계 교회와 분리되어 있다고 느낍니다. 이 프로젝트는 그들이 세계 교회에 의해 승인되었고 또 연결되었다고 느끼도록 돕고 있습니다.
남아메리카지회의 부편집인은 자신과 그의 학생들 그리고 지역 교회 청년 몇이서 45명의 전기(傳記)를 집필하고 있다고 말해 주었어요. 그 일은 그들에게 부흥과 개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청년들은 이제 자신이 교회와 교회 역사와 연결되어 있다고 느껴요. 그들은 자신들의 역사와 지역 안에서 하나님을 위해 놀라운 일을 했던 사람이 이렇게 많았다는 사실, 하나님이 그들을 통해 위대한 일을 하셨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그들은 이제 자신들이 선교를 위해 뭔가를 하지 않으면 이 선교 정신이 사라지고 말 거라고 스스로 말해요. “우리 세대에 그러한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라면서 “우리가 이 일을 계속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지요.
이런 참여 덕분에 재림교회 백과사전 프로젝트는 단순히 인쇄물이나 지적인 수준에 머물지 않고 영적인 수준으로 향상하는 것이지요.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고 변화를 일으키니까요. 제임스 화잇과 조지프 베이츠 같은 사람만이 변화를 일으킨 게 아님을 그들도 깨닫는 것이 우리의 바람이에요. 그래서 더 많은 사람이 그와 같은 변화를 만들고 있습니다.
어떤 면에서 본 백과사전이 교회에 중요할 것으로 보십니까?
사람들이 단지 역사의 단편만 보지 않기를 우리는 바라고 있어요. 하나님이 역사 속에서 자기 백성을 인도하시는 폭넓은 그림을 본 백과사전이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러면 우리 모두가 어디에 속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나는 역사 공동체의 일원이며 맡은 역할이 있다.’고 깨닫게 되지요. 역사 속에서 하나님이 인도하시는 넓은 그림을 보면 우리의 현 위치를 알 수 있어요. 현재뿐 아니라 미래에 대한 희망도요.
또 개인과 교회 공동체에 힘과 정체성을 증진합니다. 역사를 통해 하나님의 목적들이 점진적으로 발전하고 전개되는 모습을 보면서, 앞으로 겪을지도 모르는 난관과 문제를 돌파해 나가야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지요. 하나님이 다스리시니까요.
이 일을 위해 대총회의 다른 부서들과도 협업하고 있습니까?
물론입니다. 그리고 대총회 본부 바깥의 조직체들과도 협력하고 있습니다. 우리 기관의 협력자들은 엘렌 G. 화잇 유산관리위원회, 앤드루스대학교 재림교회 연구센터, 재림교회 전자도서관, <애드벤티스트 리뷰> 사역, 재림교회 국제대학원(AIIAS), 상파울루 재림교회 대학교, 독일 프리덴사우대학교, 오크우드대학교, 워싱턴 재림교회 대학교입니다. 이들을 통해 자문과 상호 검토 평가에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전임자는 누구였습니까?
벤저민 베이커입니다. 그분은 필자와 심사 위원으로 계속 이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분의 노고와 계속되는 지원에 깊이 감사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 독자들이 알아야 할 중요한 사항은 무엇일까요?
우리는 역사학자와 신학자뿐 아니라 연구원, 교사, 학생, 전문 지식을 지닌 회원들의 도움도 기다리고 있습니다. 초청 위원들이 다루지 않은 주제와 관련하여 그분들이 기사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 상호 평가, 교정, 구전된 역사 정보 수입을 위한 인터뷰, 선교 서신 제공, 사진, 유물 등 기타 사항에서도 도움을 환영합니다. 새로운 연구와 계획에 없던 기사에도 문을 열어 놓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학자들만이 아니라 모두를 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드라고슬라바 산트라츠의 이메일 주소는 encyclopedia@gc.adventist.org이며, www.adventistarchives.org/encyclopedia로 접속하거나 트위터에서 ESDA를 팔로우 할 수 있다. @EncyclopediaS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