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질문
성막 기구들이 주는 메시지
이스라엘의 광야 성소에 있던 여러 기구에는 어떤 의미들이 있는가?
성막은 백성 중에 거하기 위해 하나님이 광야에서 나타나신 사랑의 표현이다. 그것은 죄의 문제가 해결되는 하늘 처소를 표상했다. 하나님의 구원 계획은 지상 성소의 봉사에서 예증됐다. 성막의 기구들에는 풍부한 상징들이 있다.*
1. 희생 제단
부조 시대에 경배의 장소는 바로 그들이 쌓은 제단이었다(창 8:20; 12:7~8; 22:9; 26:25; 33:20). 성막을 지었을 때, 제단은 중앙에 위치했다. 조각목으로 그것을 만들고 놋으로 덮어 마당에 두었다. 그것은 구약 성경 전반에 걸쳐 여호와의 임재와 연관이 있다. 제단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께 나아갔고(시 43:4), 희생 제물을 그분께 가져왔다. 네 모퉁이에 뿔이 있었는데(출 27:1~8) 매일 희생 제사의 피(레 4:7)와 속죄일에 흘린 피를 거기에 발랐다(레 16:18). 제단은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나타내었다.
2. 물두멍
이것은 제단과 성소 입구 사이에 있었다(출 30:17~21). 제사장들은 제단에서 직무를 수행하기에 앞서 혹은 성막에 들어가기 전에 거기서 손과 발을 씻었다(20절).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들은 정결해야만 했다. 지금 우리는 그리스도의 피로 정결하게 되며, 이런 일은 침례를 통해 적절히 이루어진다(행 22:16; 엡 5:26; 고전 6:11).
3. 금상
성소 안 북쪽에 조각목으로 만들어진, 금을 입힌 상이 있었다(출 25:23~30). 임재의 떡(진설병)을 그 상에 두었다. 아마도 각 여섯씩 두 줄로 쌓아 올린 열두 개의 떡이 있었을 것이다(레 24:5~9). 매 안식일, 새 떡들이 상에 놓였다. 여호와께서는 백성의 대표자인 제사장들에게 그 떡들을 먹도록 주셨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백성을 위해 매일의 양식을 주시는 분이심을 가리켜 주었으며 그 떡은 생명의 떡이신 그리스도를 상징했다(겔 16:9; 요 6:48~51).
4. 등잔대
등잔대는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세 가지를 지니며 성소 남쪽에 자리한다(출 25:31~40). 그것은 순금으로 만들어졌고 살구꽃 형상의 잔과 꽃으로 장식되었다. 그 모양과 꽃과 관련된 용어들은 어떤 나무의 이미지를 제공한다. 등잔대는 생명나무를 양식화한 듯하며 그것은 피조물의 생명의 근원이신 하나님을 상징하며 생명의 참 근원이신 그리스도를 가리킨다.
5. 분향단
이 단은 성소와 지성소를 나누는 휘장 바로 앞에 있었다. 그것은 여호와 앞에서 하루 두 번 향을 불사르는 데 사용되었다. 향은 하나님 백성의 기도를 상징한다(시 141:2; 계 5:8; 8:3~4). 그러나 그것은 또한 대제사장이 지성소에 계신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게 하기도 한다(레 16:13). 향은 상징적으로 하나님과 그분의 백성을 연결시키며 그리스도의 공로를 적절히 상징한다(엡 5:2; 고후 2:14~17; 빌 4:18).
보다시피 모든 것이 그리스도에 대해 말해 준다.
*언약궤에 대해서는 본지 2012년 3월 호 기사에 소개되었다.
앙헬 마누엘 로드리게스 목사, 교수, 신학자로 봉사한 뒤 은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