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림교회 발자취
아프리카 지회 조직 100주년 기념
현대 진리로 밝혀 준 한 세기
남아프리카-인도양지회가 올해로 선교 100주년을 맞았다. 지회가 조직된 이래로 있었던 재림교회 사역의 여러 국면을 본 기사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실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기별은 1871년, 광산 시굴자 윌리엄 헌트가 다이아몬드를 얻기 위해 킴벌리에 도착하면서 남아프리카에 전해졌다. 앞서 3년 전에 미국 네바다주 출신인 헌트는 J. N. 러프버러가 캘리포니아 힐즈버그에서 인도한 복음 전도 집회에 참석했다. 헌트는 성경 진리를 받아들이고 재림교회에 합류했으며 자신이 여행하는 곳마다 복음 기별을 전하겠다고 러프버러에게 약속했다.
자신의 약속에 충실하게 헌트는 『사인스 오브 타임스』(영문 시조)를 그 지역의 감리교회 목사 J. H. G. 윌슨과 그의 아내에게 주었으며 그들은 재림 신앙을 받아들였다. 1878년 6월 6일 자 『리뷰 앤드 헤럴드』에 실린 윌슨의 편지에는 몇몇 사람이 재림교인들이 가르친 진리를 온전히 확신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개별적으로 안식일을 준수하기 시작했던 조지 반 드루텐과 피터 웨슬스에게 헌트가 전도하려는 노력의 결과로 선교사 C. L. 보이드와 D. A. 로빈슨이 1887년 7월, 킴벌리에 도착했다.
그들의 첫 번째 교회는 비콘스필드에 위치했으며 교인 26명이 있었다.1 1889년 케이프타운에 또 다른 교회가 세워졌고 이어서 A. T. 로빈슨은 남아프리카합회를 조직하고 자신이 첫 합회장이 됐다. 1902년 남아프리카연합회를 조직하기에 앞서 교회는 케이프타운에 클레어몬트 유니언 대학교, 플럼스테드 보육원, 클레어몬트 병원 및 소규모 인쇄소를 세웠다.
연합회는 남아프리카와 오늘날 말라위와 잠비아로 알려진 북쪽 국가들로 선교를 확대해 나갔고 그 일에 짐바브웨의 블라와요에 있는 솔루시 선교지를 근거지로 이용했다. 남아프리카에서의 이런 성장을 통해 지회 조직을 위한 길이 마련됐다.
지회 조직
대총회 부회장 엘머 E. 앤드로스가 1919년 7월, 남아프리카를 방문했을 때 남아프리카연합회는 대총회에 남아프리카 선교지를 지회로 조직할 가능성을 고려해 달라는 요청을 표결했다.2 대총회는 요청을 승인하고 1919년 10월 16일에 아프리카지회 조직을 표결해 통과했다. 윌리엄 H. 브랜슨이 아프리카지회를 담당하는 대총회 부회장으로 임명됐다.3 브랜슨과 그의 가족은 자기 직무를 다하기 위해 1920년 8월, 남아프리카에 도착했다. 지회 사무실은 케이프타운의 클레어몬트에 소재했고,4 교인 수는 세 연합회에 걸쳐 2,705명이었다.
브랜스과 다른 교회 지도자들은 정부와 국무부를 방문해 국가 지도자들에게 교회의 원칙과 이상을 알려 주었고나이대 그 지역에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합법적인 인정과 지위를 확보했다.5
성장 방법
1901년, 아프리카를 개척한 선교사 중 하나인 윌리엄 H. 앤더슨은 “아프리카에서 수고하는 모든 선교사는 원주민들에게 선교할 최고의 방법이 학교를 통해서라는 데 동의했다.”6라고 했다. 교회는 재림교회 청년들을 위해 학교를 세웠지만 어떤 종교를 가졌든지 상관없이 학생들은 입학할 수 있었다.
1946년경, 재림교회 교육자이자 행정자 H. A. 모리슨은 ”남아프리카지회는 학교를 건립하는 데 앞장섰으며 학교를 통해 하나님을 위한 회심자들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이 학교들에서 많은 사람이 공부했으며 사업은 급속도로 성장했다.“7라고 회상했다. 오늘날 교회는 7개 대학교와 여러 단과 대학 및 학교들을 전 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다.
사용된 또 하나의 개척 선교 방법으로는 의료 선교 사업이 있다. 엘렌 화잇은 ”의료 선교 사업을 선구적인 사업으로 여겨야 한다. 그것은 편견을 깨는 도구임에 틀림이 없다. 그 사업은 복음의 오른팔로 선교의 문을 열어 준다.“8라고 말했다. 이 권면에 따라 여러 나라에 걸쳐 병원 6곳과 여러 진료소가 1920~40년대 사이에 문을 열었다. 후에 두 병원이 문을 닫았지만 나머지는 여전히 오늘도 운영 중이다. 초기 재림 신자들은 또한 자신들의 선교를 강화하는 일에 문서 선교를 활용했다. 1875년, 엘렌 화잇은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백성이 인쇄물의 유익한 기능을 십분 활용하도록 그들에게 맡기셨으므로 다른 전도 방법들과 인쇄물 분급을 병행한다면 진리의 지식을 전파하는 일에 성공할 것이다. 필요에 따라 전도지와 간행물과 책을 전국의 모든 도시와 촌락에 분포해야 한다.”9라고 권면했다.
지회에 소속된 초기의 성공적인 본국인 문서선교자에는 남아프리카의 리처드 모코, 바수토랜드의 데이빗 칼라카 그리고 남로데시아의 짐 마인자가 있었다. 그 지역에 출판소들을 설립함으로 문서 공급이 향상됐다.10
지회의 기여
남아프리카-인도양지회는 세계 교회에 여러 가지로 이바지했다. 지회는 1892년에 각부 제도를 시범적으로 시도했고 1901년에 대총회가 이것을 채택했으며, 목회자 자녀 협회도 시범 운영했는데 오늘날 다른 지회들도 따라서 하고 있다.
선구자들과 그들을 이은 자들을 이끈 동기는 복음 사업을 마치며 예수께서 오시는 것을 보는 데 있었다(마 24:14). 그들의 희생은 짐바브웨의 솔루시와 같은 선교 거점들에서 발견되는 무덤들로 입증되고 있다.
100여 년이 지난 오늘, 지회 지도자들은 계속해서 그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희생적인 선교를 삶의 방식으로 강조하고, 자유와 전인적 건강과 예수 안에서의 소망을 높이고, 사람들 가운데서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시키고 있다.
패스모어 하찰링가(D.Th., D.Min.).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 인근 헬더버그 대학교의 엘렌 G. 화잇 연구 및 유산관리센터장이다.
1 C. L. Boyd, “South Africa,” Review and Herald, Nov. 8, 1887, p. 699.
2 L. Francois Swanepoel, “The Origin and Early History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in South Africa, 1886-1920” (M.A. thesis, University of South Africa, 1972), p. 150.
3 In the decades that followed, the African Division underwent several territorial realignments and name changes from the African Division (1920-1930), Southern African Division (1931-1964), Trans-Africa Division (1964-1983), and Eastern Africa Division (1983-2003), to the Southern Africa-Indian Ocean Division (2003-present).
4 In later years the offices relocated to Harare, Zimbabwe, and in 2007 returned to Pretoria, South Africa.
5 Charles L. Thompson, “A History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in Southern Africa, 1920-1960” (1977), pp. 2-3.
6 William H. Anderson, On the Trail of Livingstone (Mountain View, Calif.: Pacific Press Pub. Assn., 1919), p. 143; C. P. 크래거는 1913년까지 “남아프리카 곳곳에 우리 교회 학교들이 세워져서 학생들이 현장 선교를 위해 훈련받기를 바란다.”라고 열망을 표했다. 침고. C. P. Crager, “The Convention Paper on Educational Work,” South African Missionary, Feb. 24, 1913, p. 2.
7 H. A. Morriso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dvent Review and Sabbath Herald, June 10, 1946, p. 96.
8 Ellen G. White, Ellen G. White 1888 Materials (Washington, D.C.: Ellen G. White Estate, 1987), vol. 4, p. 1738.
9 Ellen G. White, Life Sketches (Mountain View, Calif.: Pacific Press Pub. Assn., 1915), p. 217.
10 다음의 출판소들이다. Sentinel Publishing Company in South Africa (1916), Malamulo Publishing House (1926), Madagascar Publishing House (1930), Casa Publicadora Angolana (1937), and Zambia Adventist Press (1989).
발문
교회는 재림교회 청년들을 위해 학교를 세웠지만 어떤 종교를 가졌든지 상관없이 학생들은 입학할 수 있었다.
캡션
24
윌리엄 브랜슨
25
남아프리카 프리토리아에 있는 오늘날의 남아프리카-인도양지회 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