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계명을 말하는가?
성경 질문 어떤 계명을 말하는가? 요한계시록 12장 17절과 14장 12절의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며”에서 언급한 계명은 어떤 계명인가? 두 구절 모두 계명에 순종하는 것이 마지막 날, 하나님의 백성의 특징이라고 말한다. 그들은 요한계시록 12장 17절에서 남은 백성 혹은 여자의 남은 자손으로, 14장 12절에서 성도로 부르심을 받았다.... Read more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나다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나다 하나님이 시내산에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나타나신 목적은? 출애굽기 19장 16~20절, 20장 18~21절, 신명기 5장 22~27절은 신적 현현(顯現, theophany, 그리스어 ‘세오스’는 ‘하나님’, ‘파이노’는 ‘나타나다/보이다’라는 뜻임)이라는 묘사를 포함한다. 시내산에서의 신적 현현은 구약 성경에서 가장... Read more
풀무불 속의 네 번째 존재
성경 질문 풀무불 속의 네 번째 존재 다니엘 3장 25절에서 “신들의 아들”은 누구인가? 다니엘의 세 친구가 이 구절의 배경이다. 그들은 느부갓네살왕이 세운 신상 앞에 무릎을 꿇지 않아 맹렬히 타는 풀무에 떨어졌다. 왕은 상황을 지켜보다가 풀무 안에 네 명이 있는 것을 보고 말했다. “넷째의 모양은 신들의 아들과 같도다”(25절). 아주... Read more
하나님은 어디 계시는가?
성경 질문 하나님은 어디 계시는가? “전염병이 대유행하고 있는데 하나님은 어디 계시느냐?”고 친구들이 묻는다. 타당한 질문이다. 그리고 우리는 소망과 믿음을 굳건하게 해 주는 지침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고통과 악의 세상에서 사랑의 하나님이 함께 존재하시는가에 대한 질문은 복잡하고 어렵다. 그러나 성경에는 우리를 이끌어 줄 해답이 충분... Read more
고유하게 그분께 속한 생명
성경 질문 고유하게 그분께 속한 생명 동물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살다가 죽는다. 그런데 왜 사람의 생명은 그렇게 가치가 있는가? 하나님의 존재를 부인하는 사람들조차 우주 가운데 지구에서만 발견되는, 그들이 우연이라고 간주하는 생명의 본질에 대해 놀라워한다. 성경의 창조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인간의 생명을 훨씬 더 고귀하고 신비롭게 여긴다.... Read more
고대 이스라엘의 안식일 준수
성경 질문 고대 이스라엘의 안식일 준수 이스라엘 사람들은 여호와를 경배하기 위해 모두 안식일에 성전으로 갔는가? 질문에 대한 간략한 답변은 ‘아니다.’이다. 그렇다면 이스라엘 사람들은 안식일에 어떻게 예배를 드렸느냐고 질문할 것이다. 그 질문의 답변은 쉽지 않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안식일이 그저 쉬는 날이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도 있다.... Read more
기초가 되는 가르침
기초가 되는 가르침 기본교리란 무엇인가? 기본교리란 재림 전에 온 세상에 선포해야 할 성경 기별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여기는 바를 요약한 것이다. 기본교리의 성격과 목적에 대해 생각해 보자. 1. 성경 진리는 역동적이다 성경 진리는 지성인을 다룰 뿐 아니라 우리가 하나님과 타인과 맺는 관계의 특성을 다룬다. 따라서 진리는 우리의 자... Read more
두려워할 것이 없다
두려워할 것이 없다 왜 성경에서는 ‘여호와를 두려워하는 일’이 그토록 자주 나타나는가? 두려움은 기본적으로 실제 혹은 가상의 위협에 대한 인간의 반응이다. 그 위협이 인간의 통제를 넘어선 초자연적인 것이라고 여겨질 때 두려움은 절망의 모습을 띠며 죽기를 갈망하게 된다. 1. 하나님에 대한 본성적 두려움 인간은 타락한 이후에 하나님이 임재하... Read more
영원한 인간, 영원한 하나님
성경 질문 영원한 인간, 영원한 하나님 왜 예수께서 인간이 되셨는지는 이해가 된다. 그런데 왜 영원히 인간으로 남아 계시는가? 성육신은 신비이다. 그것을 이해할 만큼 인간의 이성적 사고력이 깊지 못하기 때문이다. 좋은 질문을 했다. 하나님의 아들의 성육신이 영원히 보존된다고 말해 주는 성경상의 몇 증거를 살펴보자. 그런 다음 의문을 해결해... Read more
성막 기구들이 주는 메시지
성경 질문 성막 기구들이 주는 메시지 이스라엘의 광야 성소에 있던 여러 기구에는 어떤 의미들이 있는가? 성막은 백성 중에 거하기 위해 하나님이 광야에서 나타나신 사랑의 표현이다. 그것은 죄의 문제가 해결되는 하늘 처소를 표상했다. 하나님의 구원 계획은 지상 성소의 봉사에서 예증됐다. 성막의 기구들에는 풍부한 상징들이 있다.* 1. 희생 제... Read more